The Origin of Korea Mental Culture in Ethnical Religions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2 (52):243-280 (2017)
  Copy   BIBTEX

Abstract

19~20세기 초 한국에는 다양한 종교운동이 분출하였다. 서구 기독교가 유입하여 크게 성장하였고, 전통 유교 역시 종교로서 변화를 모색했다. 동시에 새로운 종교들도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것이 동학(천도교), 대종교, 증산교, 원불교의 민족종교이다. 대체로 이들 민족종교는 한국의 전통적 종교성과 연관된 한국 정신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족종교 속에 내재한 한국 정신문화를 추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전통의 정신문화인 단군신화, 제천의식, 소도 등과 외래문화와 한국 정신의 융합을 추구한 최치원, 원효, 일연, 이황 등의 철학을 경천사상, 실천사상, 조화사상 등으로 정리하고, 이후 민족종교인 동학, 원불교, 증산교에서 이들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추론하고자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8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tudy o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Han(韓)-nation in terms of ‘Fence-culture’. 김영필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11-132.
‘우리철학’에서 본 최치원의 삼교론. 김현우 & 서영이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7 (97):7-40.
A Study on The Desirabl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Policy in The Viewpoint of Nationalism. 이범웅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4):309-335.
A Study of Moral Panics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송선영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73-11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7

Downloads
6 (#1,704,271)

6 months
5 (#1,091,5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