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n knowledge of Wang Tingxiang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3 (83):95-125 (2015)
  Copy   BIBTEX

Abstract

왕정상의 지식론은 그의 氣 一元論에 근거한다. 기가 응집하여 인간에게 형기를 부여하고 동시에 정신에 해당하는 神을 심에 부여한다. 인간은 형기의 차이로 인해 신체의 크고 작음, 강인하고 약함, 얼굴과 몸의 미추 등의 다름을 지니고 태어나지만, 인간 모두 마음 안에 신이 있어 그 작용으로 인식능력과 사유능력을 지닌다. 타고난 부족함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학문이다. 학문에 의해 좀 부족한 형신을 가지고 타고나더라도 더 우수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왕정상은 학이 도덕적 지식만 취하는 것이라는 입장에 반대한다. 그는 세상의 일, 우주 만상의 일, 도덕적인 일, 탐미적 지식 등 다방면의 학을 권하고 있다. 학에 대한 그의 관점은 지식에 대해 현대의 우리가 지닌 관점과 일치한다. 현대의 우리에게는 이러한 그의 사유가 조금도 특별할 것이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정주 리학의 영향으로 도덕주의가 만연해 있던 당시의 관점에서 본다면 현세적이고 실용적인 그의 지식론은 진정 획기적이고 이단적이며 괴이하기까지 한 경우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의 지식론은 멸망을 앞두고 나라를 근심하던 명의 애국 유학자들에 의해 더욱 완성되고 정립되어 실사구시의 학으로 꽃피게 된다. 그의 지식론은 우선 인식에서 받아들이는 견문의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그 견문을 가지고 사유하고 자득하여 내 것이 되는 과정을 중시한다. 이 과정은 주희의 격물치지와 그 사유 과정이 같다. 또한 그의 지식론은 자기가 맡은 일에서 자기의 능력을 키우고 깨우쳐 가며 일의 능숙함을 익히는 동시에 도덕적으로 완성을 이루는 履事의 과정을 중시하는 것으로, 이는 왕수인이 제시한 사상마련과 유사한 과정이다. 단 왕수인의 사상마련은 단지 도덕론에 근거하여 양지를 실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데 반해 왕정상의 이사는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지식을 깨우치는 것을 중시한다. 즉, 왕정상의 지식 습득 과정은 因習, 因過, 因悟로서 형성된다. 그는 인습, 인과, 인오를 거쳐야 자득으로 이어지며 진지가 된다고 주장한다. 진지를 지닌 자가 책임자로 일을 행할 때는 권도로서 해야 한다. 권도는 판단의 기준에 도덕성까지 포함되는 것이다. 또 진지로서 일의 기미를 예견할 수 있게 되고 우주론적 과학 지식이 해박해지면 勢까지도 예견이 가능해진다. 과학적 지식을 익히는 것은 기의 흐름을 연구하는 것으로 기의 운동 변화를 감지하게 되면 일의 기미와 세를 예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희로애락의 감정까지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즉, 자득으로 인해 자연적 현상에 순응하게 되면 일상의 진퇴, 취사, 사생, 화복의 자연적인 것과 도덕적 규범까지도 지식의 습득으로 神의 도움을 받아 갖추어지는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5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oral Rules in Smith's Theory of Moral Sentiments. 변영진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269-293.
Wittgenstein and Mauthner’s Critique of Language. 박정식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7-126.
Paintings as the basic category of Platonism (Plausible Story: eikotes logoi). 임연정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6 (86):279-318.
순자의 심미의식 고찰 - 예론을 중심으로 -. 심현섭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9 (69):219-243.
Sino-Barbarianism and Primacy of Ki Reflected on Wang Fuzhi’s Idea. 박용태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8 (78):423-444.
Self-Knowledge, Dialogue, and Communes. 이선형 - 201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8:87-119.
Moral Philosophy on the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by A. Smith. 문종길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6):1-2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807,862)

6 months
3 (#1,486,84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