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al Philosophy on the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by A. Smith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6):1-25 (2012)
  Copy   BIBTEX

Abstract

질서와 조화에 대한 관념은 동양은 물론, 서양의 정신사에서도 공통된 주제였다. 그런데 이 개념은 서양에서 중세의 몰락과 근대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사상의 등장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왜냐하면 개인주의와 자유주의는 근본적으로 다양성과 다원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전체와의 조화나 질서를 추구해왔던 이상과는 상충하기 때문이다. 서양의 정신사는 이러한 문제를 이신론 또는 자연신학을 통해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은 근대의 이신론에 기초하여 애덤 스미스의 대표 저작인 『도덕 감정론』을 검토함으로써 ‘애덤 스미스의 문제’로 불리는 오해를 바로 잡고, 그 동안 학계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왔던 애덤 스미스의 도덕 철학을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그의 도덕 철학 체계에서 중심을 이루는 승인과 부인, 공감과 공정한 관망자 개념이 자기애적인 개인이라는 개념과 어떻게 수미일관하는지에 대해서 검토할 것이다. 그의 도덕 철학 체계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그의 윤리 사상에 존재한다는 일반적인 편견, 즉 이기적인 개인과 이타적인 인간이라는 상호 모순되는 관점이 서로 충돌한다는 평가가 잘못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기적인 개인의 모습이 사회적 선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올바로 파악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그의 도덕 철학 체계에 담긴 의미와 내용을 올바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국부론』에 나오는 인간관에 대해서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갖게 될 것이다. 논자에게 스미스의 도덕 철학은 그 중요성에 비해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점이 의외의 사실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당연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이유는 스미스가 우리에게 경제학자이자 『국부론』의 저자로 소개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가 도덕 철학자에서 경제 문제로 자신의 관심 주제를 확장한 점을 고려할 때 그의 도덕 철학은 그의 경제학을 이루는 근간이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우리는 그의 도덕 철학을 살펴봄으로써 영국의 공리주의의 정신까지 추적하는 지적 성취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4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oral Rules in Smith's Theory of Moral Sentiments. 변영진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269-293.
A Study on the Form of Adorno’s Theory of Moral.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9:139-165.
Dasan Jeong Yagyong’s Theory of Virtue and Democracy. 김우진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4:101-118.
Universalizability of Moral Values and Moral Relativism. 윤화영 - 2016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419-443.
An Approach Resolving Ethics Problems in the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강기호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15.
An ‘Impartiality Thesis’ as a Criterion of Justification for Moral Judgment. 이재숭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153-167.
A Study on maternal ethics for reconstruction of moral domain. 이혜정 - 200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8 (8):91-113.
The Real Problem of the Moral Twin Earth Argument. 전승태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1 (91):147-180.
On the Moral Status of Disgust. 장대익 & 이민섭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51-84.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11 (#1,417,674)

6 months
3 (#1,470,82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