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ustice of ‘Crazy Moon Supporters’ and Feminist Placeness

Korean Feminist Philosophy 29:211-241 (2018)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미국의 여성주의 정치 철학자 아이리스 매리언 영의 다원적 정의론을 토대로 하여 ‘문빠’와 ‘여성주의’의 공존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정의로운 사회가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출발점으로서 이 글은 먼저 문빠와 여성주의의 교집합으로서 아이리스 매리언 영의 ‘이질적 공중’ 개념을 적극적으로 차용한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열성적지지층들을 속되게 부르는 일명 문빠는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열성적 지지라는 공통분모를 제외한다면, 이념적 성향이나 계층, 연령, 직업, 성별, 지역적 분포 등의 측면에서 대단히 포괄적인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다. 때문에 문빠는 단일한 속성을 가진 집합적인 실체로 환원할 수 없는 이질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 정부의 정책과 정치적 사안에 따라 이합집산을 반복하는 사건적 주체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빠와 여성주의를 조합 가능성을 탐구해보려는 시도는 문빠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이질성 때문이다. 여성주의 또한 ‘여성’이라는 단일한 집합적 실체를 가정하지 않으며 사건과 사안에 따라 형성되는 유동적 보편성과 사건적 주체성을 주요한 특징으로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문빠와 여성주의는 사건과 사안에 따라 나타남과 사라짐을 반복하는 유동적 보편성을 교집합으로 삼는다는 진단도 가능할 듯하다. 문제는 촛불혁명의 주된 동력이자 새 정부의 성패를 좌우할 열성적 지지층으로서의 문빠가 지향하는 정의가 여성주의적 정의와 공명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질적 주체들의 느슨한 연대라는 공통적인 지반에도 불구하고, 근래 우리 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로 부상한 미투 운동이 보여주고 있듯, 〈나라다운 나라〉, 〈적폐 청산〉, 〈공정한 대한민국〉이라는 정의의 슬로건은 여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억압의 완전한 철폐와 근절을 목표로 삼는 여성주의적 정의관을 충족시키기엔 다분히 추상적이고 안이해 보이기 때문이다. BR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음의 몇 가지 점들을 해명해 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첫째, 문빠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이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지지를 표방하는 문빠가 새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문빠 현상을 여성주의적 맥락에서 가늠해 보는 것은, 새 정부가 표방하는 여성정책의 주요한 의제들의 현실적 적실성 및 그것의 성패여부를 점쳐볼 수 있는 중요한 밑 작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상식과 원칙을 표방하는 문빠의 정의 속에서 여성주의적 장소는 어떻게 구성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와 문빠가 어떤 점에서 동일한 지반을 공유할 수 있을지, 또 어떤 문제 때문에 함께 할 수 없는지가 선명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정치사회적, 역사적, 이념적 맥락에서 검토되고 있는 문빠에 대한 논의를 여성주의적 관점과 맥락에서 탈구축하여 이를 재구성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93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wo Aspects of the Concept of Justice- Confucianism and Feminism. 김선희 - 2011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6 (null):45-82.
The Time of Woman and the Time of Aion. 연효숙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89-118.
Problems of Business Ethics for Natural Environment. 윤혜진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313-332.
Feminist philosophical counseling on the problem of emotions. 김선희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9 (null):5-33.
Civil Society, what will it do? 이상형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213-245.
Modern French Philosophy, Ontology, Ethics. 조현수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8 (78):573-598.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A Study of the Other in the Context of Justice. 정현철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6:111-13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856,444)

6 months
3 (#1,498,02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