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적대적 기업인수합병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윤혜진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4 (92):449-472.
    본 논문은 율곡의 사상체계 속에서 강조되는 民의 온전한 삶(全生)과 생명의 보존의식(重生)에 토대한 養民의 의식에 대한 사상적 연원을 도가철학의 세계관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율곡의 철학사상이 가지는 사상적 지위에 대한 평가는 크게 2가지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하나로 성리학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율곡을 전통 유학의 계승자로 평가하고, 이해하는 관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조선 실학의 정립을 위한 사상적 토대를 제공한 실학사상의 원류로 해석하는 입장이 있다. 하지만 전통 성리학의 계승자인 동시에 성리학의 새로운 해석의 기제를 마련하고 실천한 율곡을 전통의 계승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6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3
    A Study on the Ethical Problems of Employment At Will. 윤혜진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201-223.
    이 논문은 회사에서 고용인에 대한 승진이나 강등, 심지어 해고까지 고용주 임의대로 해도 된다는 전통적 사고방식, 즉 임의 고용 신념의 윤리적 문제점을 지적한다. 각국에서 법정 공방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에서는 공공 분야의 경영 효율성 등을 이유로 임 의 고용이 다시 확산되는 추세에 있으며,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 같은 법률적 구조가 취 약한 나라에서는 어떤 판결이 이루어지는가와 상관없이 곳곳에서 무단 해고가 성행하고 있다. 임의 고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우리나라 역시 관련 법령의 명시적 규정에도 불구 하고 여러 중소기업이나 개인회사에서는 암암리 구두 고용 계약 체결이나 그에 따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Analysis of Three Fundamental Issues of Environmental Ethics - International, Intergenerational, Interspecies Issues -. 윤혜진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8 (58):5-24.
    본 논문은 환경 윤리의 세 가지 기초 쟁점, 즉 국가와 국가 사이의 문제, 세대와 세대 사이의 문제, 종과 종 사이의 문제를 통해 환경 윤리에 대한 논의의 일반적 조명과 함께, 환경 윤리 전반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환경 윤리에 대한 일반적 논의와 그에 대한 종합적 이해는 거의 모두 이 세 가지 쟁점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자연 환경 문제를 두고 국가와 국가의 이익이 상충할 경우, 그런 이익 상충을 어떻게 조절할 것이며, 만일 특정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7
    A Study of Education for Good Moral Character ―Centering on Edmund L. Pincoffs's Virtue Ethics―. 윤혜진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1 (51):323-345.
    교육이 무언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의도적 활동이라면, (덕윤리적 관점에서) 도덕 교육은 훌륭한 도덕 품성 개발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의도적 교수 행위이다. 교사는 학생으로 하여금 어떻게 하면 훌륭한 도덕 품성을 함양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해 교수하며, 학생은 이런 내용 전반을 학습한다.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도덕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 역시 도덕 품성 개발에 대한 도덕 교사의 교수 활동과 이를 배우는 학생의 도덕 학습 활동이 도덕 교육의 목적에 맞게 유기적으로 진행되는 일이다. 학생이 수행하는 도덕 학습은 교사로부터 사회 현실에 맞는 도덕 품성을 습득하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3
    A Shift to Collaborative Collective Bargaining from Adversarial Collective Bargaining. 윤혜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361-379.
    이 논문은 우리 사회의 경제적 현실에서 아주 중대한 문제로 떠오른 노사협상에 관한 문제, 특히 고용인들이 선출한 대표자 집단과 고용주가 임명한 경영자 집단 사이에 이루어지는 단체교섭에 관한 문제를 조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이 논문은 현행 단체교섭 형태의 윤리적 심각성을 파악하고 있다. 노사 양 측 사이의 뿌리 깊은 불신으로 인해 서로를 무너뜨리기 위한 온갖 술수와 모략으로 점철되는 단체교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러한 현행 단체교섭을 서로에 대한 힘만 과시하면서 대부분 합의에 실패하고 마는, 그래서 극단적으로 감정의 골만 깊어지는 ‘적대적 단체교섭’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2
    Ethical Foundation of Employee Rights. 윤혜진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2 (72):391-413.
    이 논문은 고용인의 기본권을 탐구한다. 먼저, 수탁의 임무를 다한 고용인에게 주어지는 마땅한 대우에 대해 논의한다. 이 논문에서 마땅한 대우는 주로 공정한 임금을 받아야 하거나, 건강 및 안전을 위협받지 않을 정당한 근로조건과 관련하여 논의된다. 하지만 필자는 어떤 권리든 그게 가만히 앉아서 응분의 몫만 받아야 할 정도로 그렇게 소극적인 게 아니라 무언가를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적극적 의미를 띤다고도 보고, 고용인이 윤리적 관점에서 회사에 적극 요구할 수 있는 기본적 권리들을 탐색한다. 이에 따라 필자는 고용인이 자신의 사생활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회사의 중대사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2
    Foundation of Legal Ethics. 윤혜진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5 (45):321-341.
    법 규범 자체의 정당성은 물론이고 법의 적용이나 실행 역시 정당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법 실행의 정당성 확보와 법 운용에 대한 윤리적 논의의 중요성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이에 따라, 법 운용의 핵심에 서 있는 법률가의 윤리적 태도에 대한 논의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법률가의 윤리적 태도가 어떠냐에 따라 법의 적용과 실행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해 고찰한다. 그리고 법률가의 전문적 역할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도덕적 기준, 다시 말해 법률가의 직업적 책임에 대한 도덕적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직업윤리로서의 법조윤리’에 대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8
    Moral Choices of Employees Facing Conflict of Interest. 윤혜진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6 (66):413-434.
    이 논문은 이익 상충에 직면한 고용인의 도덕적 선택을 통해 회사로부터의 고용인에 대한 신뢰가 더욱 강화될 수 있고, 회사의 업무를 위임받은 고용인의 권리와 지위가 더욱 확고해질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쓴 글이다. 어떤 조직이든 조직에 속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 사이에서의 이익 상충을 경험하지만, 회사 조직과 같은 직접적 이윤 추구의 조직에 속한 사람에게는 이익 상충의 갈등이 심각하게 두드러진다. 특히, 회사에 속한 고용인은 회사의 이익과 자기 개인 이익을 앞에 두고 간혹 무엇을 우선시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도덕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9
    Mor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for Consumer. 윤혜진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7 (57):397-417.
    이 글은 소비자에 대한 기업 책임의 도덕적 기초를 음미함과 동시에, 구체적으로 기업이 소비자를 위해 고려해야 할 도덕적 요소들을 분야별로 탐구하고 있다. 자유시장경제 체제 안에서 제품에 대한 가격 지불의 의무를 다한 소비자에 대하여, 기업은 생산 및 판매 제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자세하게 알려 줄 정보제공 의무를 지며, 생산 단계부터 소비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지 않을 불침해성 의무를 진다. 정보제공 의무에 따라 기업은 제품 품질, 제품 가격, 상표 및 포장, 광고 등의 분야에서 소비자에게 사실은폐나 왜곡된 정보를 결코 전달해서는 안 된다. 불침해성 의무에 따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3
    On 'Attorney's Lying' in Profession. 윤혜진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2 (52):365-387.
    본 논문은 온정적 간섭의 형태로 진행되는 ‘변호사의 직업상 거짓말’이 어느 정도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법률적 맥락에서, 변호사의 직업상 거짓말이 어떻게 시도되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윤리적 맥락에서, 변호사의 직업상 거짓말에 대한 논의의 기초로 수탁자 책무와 온정적 간섭주의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변호사의 직업적 책무와 사회적 책무의 상충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조명하는 과정에서, 전문 변호사에게 주어지는 특정의 직분 도덕과 직업적 책무에 대한 사항이 중요한 사항으로 조명되고 있다. 의뢰인의 변호사에 대한 도움 요청은 수임 변호사에게 자신의 특별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9
    Problems of Business Ethics for Natural Environment. 윤혜진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313-332.
    이 글은 자연환경 보호나 파괴된 환경 복구에 대한 기업의 윤리적 책임을 논의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자연환경에 대한 기업윤리 차원의 당위와 함께, 그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은 기업이 공기, 물, 대지, 동식물, 생태계 등의 보존을 위해 적극적 책임을 져야 하며, 그에 따라 여러 방식 가운데 기업이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일은 바로 돈을 내놓는 일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말로만 친환경을 표방하거나 법률적 강제에 대한 압박 때문이 아니라 책임의 당사자이면서 이득의 주체인 기업이 환경 개선에 대한 비용을 실제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10
    Worker's Rights for the Safety in Workplace. 윤혜진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3 (83):585-607.
    산업 현장에서 직접 일을 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매일매일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까닭에 위험한 일로 인해 생명과 건강을 위협받을 수 있는 근로자들의 안전성 문제는 실로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언뜻 보면,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어떠한 위험 요소로부터도 생명과 건강을 위협받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폭넓은 동의를 얻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게 결론날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근로자의 안전성에 대한 논쟁은 어떠한 산업 현장이라도 모든 위험 요소가 완벽하게 제거된 완전히 안전한 작업장은 없다는 우선적 문제로부터 발생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