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al traits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its meaning in modern age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6 (56):239-264 (2018)
  Copy   BIBTEX

Abstract

동아시아 전통 사회에서 교육은 특별한 정치적 의미를 띠고 있었다. 특히 조선의 경우, 불교에 대신하여 유교가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중심 역할을 하게 되는 과정에서 ‘누구나 배우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주장 아래 적어도 명목적으로 국민 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중대했다. 이러한 전통 교육은 인성 교육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선한 본성의 회복’을 목표로 했다. 그리고 교육의 주체는 스승(師)이었다. 이러한 전통 교육은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전개로서의 교육’이자 ‘형식도야로서의 교육’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교사에게 막대한 권위를 부여함으로써 자발적인 발전 가능성을 억제하고 성인이 되어서도 민주적 시민의식을 갖추기 힘들게 하는 효과를 낼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통교육에서의 스승은 또한 동도(同道)로서 제자를 일방적으로 지배하고 통제하기보다 함께 배우고 서로 돕는 역할이 기대되기도 했으며, 이는 민주시민적인 차원에서 긍정적일 수 있다. 무엇보다 전통교육은 인성교육과 공동체교육을 강조하는 점에서 현대의 자기이익 중심적 교육과 문화가 초래하는 비인도적 사회환경과 비참여적 정치문화에 대해 극복의 단서를 제공한다. 그런 점에서 ‘온고지신’적 교육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63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Preventive Dimension of Confucian Morality regarding Adolescent Deviation. 신창호 & 최승현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7 (27):417-446.
Critical Review on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한성구 & 지준호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6 (36):235-258.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ical humanities and Character education’. 전광수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2:105-12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7

Downloads
10 (#1,476,401)

6 months
4 (#1,263,11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A Study on Traditional Values and Citizenship. 박병기, 지준호 & 김철호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3):37-53.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