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doxie der Selbsterhaltung und ihr ideengeschichtlicher Ursprung - Nietzsches Einfluss auf Dialektik der Aufklärung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87-110 (2017)
  Copy   BIBTEX

Abstract

자기보존의 역설은 『계몽의 변증법』 의 주요 테제 중 하나이다. 그에 따르면 인류의 역사는 자기보존의 역사이자 동시에 자기파괴의 역사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계몽의 변증법』에서 제시된 자기보존 개념이 갖는 독특성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기존 자기보존 개념의 사상사적 맥락으로부터 고찰함으로써 그 역사적 고유성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의 테제는 니체의 사상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자기보존 개념의 숨겨진, 그러나 중요한 역사적 원천이라는 것이다. 사상사적 맥락에서 볼 때 니체가 자기보존 개념에 한 기여는 이 개념을 현 상태에의 머무름과 새로운 상태로의 도약으로 나누었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내적 분화는 두 상태 사이의 긴장과 대립을 함축하게 되며, 거기서 자기파괴의 가능성이 함께 나타나게 된다. 니체에 의해 다만 건드려지기만 했던 이 가능성이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에 의해 주제화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2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Play and agon as Nature. 정낙림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359-382.
Agamben’s Concept of Negativity and Aesthetics. 김지혜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135-152.
Foucault and Canguilhem - Science, Life and Subject -. 주재형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117-14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1 (#1,417,674)

6 months
9 (#482,46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