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nation-centralism and Confucianism(Ⅰ) - the reflection of controlled modern rationality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37-266 (2010)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본격적인 근대화를 추진한 1960~70년대 근대성과 유교적 가치가 어떤 접합과 괴리를 나타내는지, 주로 박정희 정권이 구상한 구체적인 근대 또는 근대인의 모습이 어떠한가를 묻는 것이다. 이는 국가주도의 강력한 근대화의 추구, 특히 근대적 국민 만들기에 통제적 합리성의 機制로 유교가 이용되거나 크게 기여했다는 전제에 입각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문은 그러한 국가 중심적 효율화와 획일화가 야기한 근대적 병폐에 대한 극복을 요구한다. 당초 유교는 양자, 그것이 지역이든, 사물이든, 사람 사이에 관한 것이든 서로 간 절충 작업의 인문정신을 발휘하였다. 유교는 ‘중심’을 추구하지만, 그것은 나 바깥의 타자를 맞이하기 위한 ‘마음 속(진실)’이나, 절충과정을 거쳐 도달하는 최적(optimum)의 상태를 지향한다. 특히 유교의 가르침, 예컨대, 충, 효, 삼강, 오륜 등은 통제적 근대 합리성의 동원 기제로 작동하였고, 그런 나머지 근대성의 추구는 지나친 국가통제의 중심주의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그러는 사이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깊은 관련을 맺고 국민 각자가 지닌 자기 욕망 성취의 공간을 좁혀 놓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근대화는 여러 방면에 걸친 통합적 성취의 공간이 아니라, 성찰을 요구하는 ‘결여의 공간’이다. 중앙 편중, 이분법적 사물 접근 방식 등, 이는 통제적 합리성 추구의 부작용이기도 하거니와, 유교의 본질을 왜곡한 바람직스럽지 않은 국가주도의 중심주의의 결과일 수 있다. 결국 한국의 지도자 중심의 획일적 근대화는 집중, 중심 편중을 야기하고 주변화, 타자화를 낳았다. 이 같은 결여 현상에 한몫을 한 유교는 어떤 의미로 다가갔는지 보다 깊은 성찰이 요청되며, ‘실학’으로서 유교는 결코 바람직스럽지 않은 현대 한국의 국가 중심화 해소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지며 이는 후일의 연구 과제로 남겨 놓는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 Original Value of Confucianism and Distortion of Locality. 이명수 & 이상봉 - 2012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3 (33):7-33.
Preventive Dimension of Confucian Morality regarding Adolescent Deviation. 신창호 & 최승현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7 (27):417-446.
Autonomy and Solidarity as a System of Existence mainly in East Asian Thought. 이명수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5 (45):241-264.
A Study on Nat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Korean. 박동준, 박균열 & 송선영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6):1-24.
Modern Sun-Bee Interlectuals and Religion. 엄진성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295-319.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7 (#1,156,101)

6 months
10 (#418,19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