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iew of The Dailiness of Education from the Interface between Foucault and Habermas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0):267-289 (2011)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이반일리치의 죽음’과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라는 서사물의 예시를 통해 무비판적으로 일상화된 교육적 상황을 주목하고, 푸코와 하버마스의 논의를 토대로 그 문제를 펼쳐본다. 푸코는 ‘윤리적 주체’라는 개념을 통하여 외적인 가치나 원리에 기대지 않고 자신의 삶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하면서 자신만의 도덕규범을 정립해 나가는 능동적 주체를 제안한다. 푸코는 그 방법론으로 ‘자기배려’의 기술을 제시한다. 자기배려의 훈련은 자기 내부를 들여다보는 실천이며, 평생 동안 실천해야 할 교육학적 태도이자 교육학적 목소리를 자기 안으로 내면화하는 것이다. 하버마스는 교실상황을 서로 간에 관련된 상황 정의를 공유하고 특정한 경로를 통해 선정된 교과 지식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생활세계의 한 측면으로 본다. 하버마스의 논의를 옮기자면, 교육적 상황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스스로 교사와 더불어 하나의 집단으로서의 표준에 책임을 지게 되고, 따라서 학생들의 어떤 주장도 거절당하지 않는다. 물론 이 교실에서도 대화의 비동등성은 존재하지만 전통적인 교실의 지배적인 유형과는 다른 보완적인 것이다. 하나의 보편적 규범이나 윤리가 문화 체제나 개인을 구원한다고 보지 않는 푸코와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합의에서 도출되는 정당한 이성의 힘을 역설하는 하버마스는 ‘교육의 일상성’이라는 같은 문제에 다른 목소리를 낸다. 그러나 푸코와 하버마스의 대립적 대안은 오히려 우리로 하여금 전체를 조망하는 교육학적 ‘통찰’로 이끄는 견인차가 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Aspects of Discourse in Moral Instruction in School. 이지명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273-299.
The Importance of The Cared-for in The Caring Ethics. 김민영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1-40.
Foucault and Philosophy. 김은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29-58.
The Eth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Nietzschean Humanity. 김세욱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65-90.
The Practicing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Care of the Self' on Stoicism. 조수경 - 2015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3):301-325.
The Suggestion of the Premise to Resolve of Environmental Pollution. 신진환 & 김진선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4):281-306.
La compréhension sur l'art de Picasso par le structualisme de Faucault. 이명곤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 (61):215-240.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16 (#1,193,080)

6 months
5 (#1,043,57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