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iddle-Path Structure in Sati and Samādhi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5 (35):29-72 (2012)
  Copy   BIBTEX

Abstract

붓다 가르침의 방식은 중도로 요약될 수 있다. 중도적 구조가 계정혜 삼학에서 집중(定)인 사마디와 사띠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초기 불교의 집중(定)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사띠와 사마디를 대립되는 양변으로 보고 이를 통합하고 초월하는 중도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아직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 사띠가 ‘거리두기’를 중요한 요소로 가지는 집중임이며 이 거리두기의 요소가 현대심리학에서 마음챙김의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둘째, 사마디는 밀착의 요소를 가진 집중이다. 셋째, 사띠와 사마디가 처음에는 ‘거리두기’와 ‘밀착’의 상반된 힘을 가지지만 ‘올바른’ 차원 그리고 중도적 차원으로 갈수록 서로 상입되고 통합된다. 요약하자면, 붓다가 지향했던 집중은 사띠와 사마디, 이 둘을 포괄하고 넘어선 중도적 집중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5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tent of Dao-tong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임명희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6 (36):293-317.
도덕적 명상으로서의 경(敬). 김철호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1 (81):141-172.
The Problem of Distinction Between ‘weak AI’ and ‘strong AI’. 김진석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7:111-137.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mocracy. 이재정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61-178.
The Zhu-zi Philosophy Analysis on the Meaning of Happiness. 김혜수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5 (45):13-41.
마음지킴(Sati) 기반 명상 실습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적 고찰. 이은정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4 (94):473-496.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8 (#1,587,259)

6 months
7 (#736,60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