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usiness Ethics in the Era of Capitalism 4.0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6):131-167 (2012)
  Copy   BIBTEX

Abstract

지난 2011년 이후 세계 경제의 심장부인 미국의 뉴욕에서 시작된 반자본주의 시위의 확산 등 최근 자본주의가 위기에 처했음을 경고하는 우울한 뉴스가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세계 도처에서는 양극화 현상이 점차 심화되면서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자본주의의 위기가 자본주의라는 경제 패러다임의 유효성이 다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 4.0은 시장 기능을 존중하고 성공한 사람이 더 큰 성공으로 나아가도록 장려하되, 시장에서 낙오된 사람들을 격려하고 그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특히 기부와 사회공헌 활동은 따뜻한 자본주의인 자본주의 4.0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에서의 사회적 갈등은 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 간의 갈등일 수도 있고, 또한 시장주의와 반(反)시장주의 간의 갈등일 수도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이러한 사회적 갈등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근저에는 벤담(Jeremy Bentham)으로 대표되는 공리주의와 롤스(John Rawls)로 대표되는 정의론 간의 논쟁이 있어 왔다. 공리주의적 관점에서는 공동체 전체의 파이를 최대화하는 정책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전체 파이의 크기이지 그 파이를 어떻게 분배할 것이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반면, 정의론의 관점에서는 공동체 전체의 파이의 크기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가장 어렵게 사는 사람의 소득 수준이 얼마인지가 중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정부는 그 사회에서 가장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자본주의가 위기에 처하면서 이윤을 많이 남기는 기업이 대중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체제에서 기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되어도 결코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기업은 한 나라의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적인 진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의 궁극적인 목표는 결국 나눔, 배려, 기부 등이기 때문에, 오늘날의 기업들은 이익 추구를 넘어 사회공헌 활동에도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는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하버드대 마이클 포터 교수는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하여, 경제적 가치 창출과 사회 문제 해결을 연계해야 한다는 ‘공유 가치 창출’ 개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인간을 위한 경제, 사람 중심의 시스템을 정립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비영리를 전제로 한 다양한 기업의 형태가 생겨나고 있고, 기존의 기업들도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면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정부가 하기 어려운 많은 일들을 비영리 단체들이 실천하기도 한다. 이제 기업은 이 세상을 모든 사람들이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한다. 자본주의 4.0 시대에는 단지 돈만 잘 버는 게 아니라 인류 사회에 기여하고, 지역 공동체에 공헌하며, 사람들의 보편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기업만이 진정으로 생존과 성장이 가능하다. 사회적 기업은 정형화된 모델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본주의 4.0 시대를 맞이하여 어느 덧 글로벌 이슈가 되었다. 최근에는 단순한 사회공헌 활동을 뛰어넘어 사회적 기업 육성 등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또한 오늘날 세계 각지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기부 문화는 지금까지 무한 경쟁에만 몰두해 온 자본주의 사회를 베풂과 나눔의 공동체로 바꾸려는 21세기의 새로운 자본주의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초 자선사업의 새 지평을 열었던 카네기는 “사회의 경제적 번영으로 가장 큰 혜택을 입은 사람들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변화시키는데 자신들의 돈과 재능을 써야할 의무가 있다.”고 역설하였다. 이는 자본주의 4.0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며, 최근 우리 사회의 쟁점이기도 한 경제 민주화 논쟁과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3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현대사회에서 합리적 이기주의의 필요성 연구. 김진선 - 2015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2):123-143.
The Correlation of Science-Technology and Ethics. 홍용희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2):191-223.
A View of the Professional Ethics on the Desirable Human Relationship in the Workplace. 이상철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6):105-141.
A wisdom for Social Intgration based on 『I-Ching』. 김재홍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4 (74):29-53.
Civil Society, what will it do? 이상형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213-245.
Ethical Implications in Social Welfare -with a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한규량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3):187-202.
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이미림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29-52.
The Study on Identity of the Popular. 박만준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51-167.
An Argument Regarding Social Values and Its Structural Elements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진희선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1):127-167.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10 (#1,470,828)

6 months
3 (#1,471,45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