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actical Application of ‘Eco Legal Person’ - Focusing on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Tursiops aduncus) in Jeju Island’ Application Model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259-282 (2021)
  Copy   BIBTEX

Abstract

일찍이 필자는 미래세대나 자연적 존재가 법적 권리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생태법인 (eco legal person)’ 제도의 도입을 제기한 바가 있다. 이글의 목적은 생태법인의 구체적 인 적용 모델 제시를 통해 생태법인 제도 도입의 의의와 실용성을 논증하는 데 있다. 법치주의 체제에서는 법인 제도를 통해 인간 이외의 존재에게 법인격을 부여하여 그들 의 권리를 스스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현행 법체제에서는 자연의 존재물을 법 인격의 주체로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법인 제도는 사회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창조된 것이다. 그리고 법인의 대상과 내용은 사회적 필요성에 의해서 다양해지고 확장되었다. 따 라서 자연의 존재물에 법인격을 부여하지 말라는 절대 원칙은 없다. 스톤(Christopher D. Stone)은 미네랄 킹 계곡에서 추진되는 스키장 건설을 반대하는 소송에서 개발로 인해 파괴될 자연에도 법적 지위가 부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017 년 뉴질랜드 의회는 원주민 마우리족의 오랜 삶의 터전인 환가누이강에 법인격을 부여하 는 법률을 만들었으며 필리핀에서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아이가 소송 당사자의 일원이 되어 밀림 개발을 막는 재판에서 승소한 사례가 있다. 제주남방큰돌고래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보호가 필요하다고 지정한 멸종위기 해 양생물이다. 하지만오늘날 제주남방킁돌고래는 해양오염과난개발, 해양관광산업의난립으로 심각한 위협에 처해있다. 제주남방큰돌고래에 법인격을 부여하고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생태법인 제도를 운용한다면 제주남방큰돌고래가 스스로 자기보호에 나설 수 있게 된다. 생태법인 제도의 도입은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의 인식과 태도를 근본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헌법에 자연의 권리가 명시되고 특별환경법원 기능을 담 당하는 생태법원 설치 논의가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63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ecessity of ‘Eco Legal Person’ System for Ecological Democracy. 진희종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0:111-127.
Philosophical Counseling on Work Addiction.김현래 ) - 2020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0:93-120.
A Study on the theory of "Tong-Kong-Yeok-Sa" in Hye kang Choi, han-ki's Qi Science. 구자익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8 (48):191-219.
The ecological implication in Mencius' human relationship theory. 이상호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1 (51):93-124.
An approach of Eastern philosophy in relation to modern society and good labor. 김희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1 (71):201-222.
Civil Society, what will it do? 이상형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213-24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2 (#1,376,176)

6 months
5 (#1,059,81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