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교 동양윤리영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 개정될 교육과정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지금까지 도덕 교과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은 듯 보이는데, 도덕 교과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현재에 대한 진단과 이를 바탕으로 대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도덕 교과의 여러 영역 중 동양윤리는 한자(漢字)를 기본으로 하는 경전(經傳)에 근거하는 학문적 특성, 동양적 가치체계와 사유구조로 현대 문명의 패러다임과 매우 다른 내용적 특성, 교수․학습의 방법적 측면에서의 특수성 때문에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때 유의하여 접근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동양윤리 교육과정을 분석해보면, 중학교의 경우는 내용이 축소되어 교과서가 2권으로 되었고 서양윤리로 치우친 경향이 있다. 고등학교는 응용윤리인 ‘생활과 윤리’와 사상을 중심으로 한 ‘윤리와 사상’에 대해 나름대로 성공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이나 대안 모색에서는 동양윤리의 특성과 정서를 간과한 부분이 드러난다. 도덕과 교육과정은 서양의 논리성․합리성의 근거한 접근도 필요하지만, 그것이 주가 되어서는 안 되며 동양윤리의 정서적 접근, 인격 수양, 기본 생활 습관과 태도를 강조하는 교육적 접근을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