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도덕․윤리과 교육에서의 효 교육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6):25-51 (2014)
  Copy   BIBTEX

Abstract

예로부터 부모에 대한 자녀의 효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통해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도덕』,『생활과 윤리』교과서에서 다루는 효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중등 도덕 및 윤리과 교육에서의 효 교육 실태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교과서만을 통한 효 교육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고등학교『도덕』,『생활과 윤리』교과서들은 대부분 동양의 고전들에 입각해서, 효 의무의 근거를 주로 ‘보은’이나 ‘감사’에서 찾는데, 그러나 이 밖에도 우정, 부모의 취약성이나 필요, 사회적 관습이나 약속, 부모-자녀의 특수 관계와 특수 선 등의 효 의무 근거들도 있다. 차후 교과서 개정 시 다양한 효 의무의 근거 제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최근 급격한 사회구조적 환경(가정, 인구)의 변화에 따라 심화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즉 젊은 세대의 효 의식이나 가치관의 약화 추세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의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법제적 차원에서의 효 관련 법을 제정하고, 이를 행․재정적 차원에서 지원함은 물론, 효 연구 단체는 효학이나 효윤리를 개발하고, 효 운동 단체들은 이를 널리 보급․홍보하여, 사회 전반에 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킬 때, 비로소 중․고등학교에서의『도덕』,『생활과 윤리』교과서를 통한 효 교육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reprint 최문기 (2014) "Hyo Education through Moral and Ethical Education in Korea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96):25-51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636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Hyo’ Ethics of Confusion in the Era of Post-Corona. 심도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281-294.
The Praxis of the Filial Piety and the Problem of its Modern Transformation. 전석환 & 이상임 - 2007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27 (27):111-137.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lial Piety Theory and Modern Leadership. 김종두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5):53-73.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9 (#1,529,874)

6 months
2 (#1,690,85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