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예로부터 부모에 대한 자녀의 효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통해 꾸준히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 『도덕』,『생활과 윤리』교과서에서 다루는 효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중등 도덕 및 윤리과 교육에서의 효 교육 실태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교과서만을 통한 효 교육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고등학교『도덕』,『생활과 윤리』교과서들은 대부분 동양의 고전들에 입각해서, 효 의무의 근거를 주로 ‘보은’이나 ‘감사’에서 찾는데, 그러나 이 밖에도 우정, 부모의 취약성이나 필요, 사회적 관습이나 약속, 부모-자녀의 특수 관계와 특수 선 등의 효 의무 근거들도 있다. 차후 교과서 개정 시 다양한 효 의무의 근거 제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최근 급격한 사회구조적 환경(가정, 인구)의 변화에 따라 심화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즉 젊은 세대의 효 의식이나 가치관의 약화 추세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의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법제적 차원에서의 효 관련 법을 제정하고, 이를 행․재정적 차원에서 지원함은 물론, 효 연구 단체는 효학이나 효윤리를 개발하고, 효 운동 단체들은 이를 널리 보급․홍보하여, 사회 전반에 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킬 때, 비로소 중․고등학교에서의『도덕』,『생활과 윤리』교과서를 통한 효 교육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