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Hwadam'

11 found
Order:
  1.  9
    Hwadam Seo Gyeong-deok’s outlook on art of living Examined through understanding on 『zhouyi』 - Focusing on Gangwae and Bokgwae -. 황인옥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85-209.
    花潭徐敬德은 16세기의 處士型학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에서 사색하며 관찰을 즐겼다. 그는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진리에 대해 주체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정주학뿐만 아니라 북송의 소옹과 장재의 철학도 깊이 연구하여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氣哲學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조선 성리학사에서 理氣論의 논의를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산림에 은거하며 현실에 좌우되지 않고 好學하는 정신은 진리를 탐구하는 전통을 이루는데 한몫을 담당하였다.BR 花潭은 『周易』을 중시하였다. 그가 復卦에서 復齋라는 호를 취한 것만 보아도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저술에서도 『周易』과 관련된 내용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Hwadam Sŏ Kyŏng-dŏk ŭi chʻŏrhak sasang: Hwadam chʻorhak kwa kŭ munin ŭi sasang.Kwang-uk Hwang - 2003 - Sŏul-si: Simsan.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3.  11
    (1 other version)The master from mountains and fields: prose writings of Hwadam, Sŏ Kyŏngdŏk.Kyŏng-dŏk Sŏ - 2022 - Honolulu: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Edited by Isabelle Sancho.
    The Master from Mountains and Fields is a fully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prose texts from the "collected works" of Sŏ Kyŏngdŏk (1489-1546), an influential Confucian scholar from the early Chosŏn period (1392-1910). A native of Songdo (also known as Kaesŏng) in present-day North Korea, Sŏ has loomed large in the Korean cultural imagination and appeared as an exceptional sage and popular hero in numerous tales, dramas, and films, yet his writings are little known outside the academic milieu. Also called (...)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4.  13
    The Master From Mountains and Fields: Prose Writings of Hwadam, Sŏ Kyŏngdŏk.Robert E. Buswell (ed.) - 2022 - University of Hawaii Press.
    "The Master from Mountains and Fields is a fully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prose texts from the "collected works" of Sæo Kyæongdæok, an influential Confucian scholar from the early Chosæon period. A native of Songdo in present-day North Korea, Sæo has loomed large in the Korean cultural imagination and appeared as an exceptional sage and popular hero in numerous tales, dramas, and films, yet his writings are little known outside the academic milieu. Also called Master Hwadam, Sæo embodied an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Ki` Recognized by Hwadam(花潭) - Toegye(退溪) · Yulgok(栗谷) in the Neo-Confucianism System. 이종미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307-327.
    성리학자들에게 있어 理와 氣의 개념 정리는 자기가 처해있는 현실세계를 이해하고, 인간의 도덕적 윤리관을 자신의 철학적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된다. 따라서 氣라는 것은 성리학에 있어서 인간과 자연,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즉 氣를 자연으로서의 氣와 인간중심과 윤리적 차원의 氣,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심성 차원의 氣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대표적인 조선성리학자들은 花潭 · 退溪 · 栗谷이 손꼽힌다.BR 退溪는 ‘理貴氣賤’이라 하여 氣를 천하게 여겼고, 花潭과 栗谷은 ‘氣’를 중시하는 이론체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花潭은 ‘一氣長存’이라 말하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10
    Sŏ Kyŏng-dŏk kwa Hwadam hakp'a: Chosŏn chunggi Chujahak ŭi tojŏnjadŭl.Yŏng-U. Han - 2022 - Kyŏnggi-do P'aju-si: Chisik Sanŏpsa.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7.  11
    Sŏnbi, ch'ŏrhakcha kŭrigo Hwadam Sŏ Kyŏng-dŏk.Kwang-uk Hwang - 2020 - Sŏul-si: Simsan.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8.  10
    "Sŏnghak sipto" wa Han'guk ch'ŏrhak kyŏngyŏn: T'oegye ka palche hago, Hwadam, Nammyŏng, Yulgok i t'oron hada!!Pong-su Kang - 2016 - Sŏul: Kanghyon Ch'ulp'ansa.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9. Nammyŏng hakpʻa wa Hwadam hakpʻa yŏnʼgu.Pyŏng-ju Sin - 2000 - Sŏul Tʻŭkpyŏlsi: Ilchisa.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8
    Study on Yi Hwang's Lihak formation background. 김지은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75-101.
    이황의 학문은 리학(理學)으로 평가될 만큼 이황은 리(理)를 특별히 강조하며 이론적 논의를 개진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이황이 강학 활동에 주력하기 시작한 1550년 이후부터 진행된다. 이황의 리학이 형성된 데에는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이 있었겠지만, 필자 는 이황이 1550년대 초부터 서경덕 문인들과 학문적으로 활발히 교유하였던 사실에 주목 하였다. 이황은 서경덕 문인들과 학문적 토론을 진행하면서 서경덕의 학설이 우주 만물의 근원·형성·변화 등을 기(氣)에 의거해서만 설명하고, 리를 그저 기의 조리(條理) 정도로 취급하고 있음을 인지하였다. 서경덕 문인들과의 교유 속에서 서경덕의 기 일원론적 입장을 보완할 필요성을 절감한 이황은 철학적 논의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7
    An Eco-aesthetical View of the Forest : Opening the Horizon of “Ecological Life Traversing the Human/Nature Dichotomy”. 최준호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267-294.
    숲에 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는 ‘생태적 삶의 추구’가 일종의 시대정신이 된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이 명실상부한 생태적 삶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본고는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더 나아가 숲에 관한 생태학적 인식과 실제 삶이 괴리되지 않도록 하는 데 일조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BR 이를 위해서 논자는 ‘뵈메(G. Böhme)가 말하는 생태적 자연미학’의 관점에서 숲을 조망하고자 한다. 뵈메가 강조하는 영국식 정원과 조경술은 숲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와 보통 사람들이 일상에서 접하는 숲 체험이 괴리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데로 나아가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