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A Study on Possibility of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hilosophical Education. 이은주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1):277-304.
    현재까지도 초등 도덕교육은 다양한 접근 이론을 교차, 혹은 병행하며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다양한 도덕교육 접근 이론의 공통된 목표는 어린이의 도덕성 함양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어린이의 도덕성 함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도덕교육 접근 이론과 구체적인 도덕교육 프로그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도덕적인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는 현실은 그 동안의 도덕교육이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반영한다. 더욱이 과거 소규모의 공동체 사회와 달리 현대 사회는 고도의 분화와 가치와 문화 등에 있어서도 극심한 상대주의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소규모의 공동체 사회에서 승인된 도덕적 규범이나 덕목들은 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5
    A Study of Possibility for Philosophy for Children. 이은주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1 (51):347-371.
    정보화 사회로 특징지어지는 현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홍수처럼 밀려오는 대량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하며 이러한 능력은 지식의 양을 극대화하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어린이는 급속도로 변화해가는 세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변화된 실제 상황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사고 능력과 실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구상력, 전체적 통찰력, 도덕적 판단력과 실천력이 초등학교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교육되어 길러져야 한다. 이러한 사고 능력은 철학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철학 교육을 통해 함양될 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1
    Bio-Technology and Surrogate mother's agency. 이은주 - 2008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0 (10):85-110.
    이 글은 구체적인 경험에 근거한 대리모 논의가 여성의, 여성으로서의 몸에 대한 주체적 입장에서 그동안의 대리모 관련 논의들을 어떻게 좀 더 다양하게 구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페미니스트들의 ‘기술의 사용자’ 개념을 통해 사실상 생명공학기술의 도구와 수단으로 위치되어있는 대리모 여성이 현실에서 생명공학기술의 주요한 주체이자 ‘기술의 사용자’로 인식되어야 함이 왜 필요한지 생각해보겠다. 그 다음에는 대리모를 둘러싼 여러 입장과 논의들이 (대리모)여성 자신의 몸에 대한 주체적 경험과 입장을 어떻게 왜곡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기술이나 가치의 효율성 또는 절대적인 가치로 구성되는 ‘생명’ 또는 ‘모성’에 대한 인식들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