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Hegel’s theory of action. 이석배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25-48.
    헤겔은 그의 저작인 『법철학』의 2부 ‘도덕성’에서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행위이론을 제시한다. 특히 행위의 목적의 구성요소를 1장의 중심 테마인 ‘기도’와 2장의 중심 테마인 ‘의도’로 구분함으로써, 헤겔은 인간의 행위와 책임귀속 문제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혁신적인 이론을 구축한다. 그러나 기존의 헤겔 행위이론에 대한 연구는 이 두 개념의 구분을 중시하지 않았는데 반해서,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개념을 확연히 구분함으로써, 헤겔의 행위이론을 정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기도는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육체의 운동을 내용으로 갖는 반면에, 의도는 기도에 대한 보편적 술어이며, 소행이 처해 있는 외적인 연관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Law of Heart and Action. 이석배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7:27-53.
    헤겔의 『정신현상학』 「V. 이성의 확신과 진리」의 「B. 자기자신에 의한 이성적인 자기의식의 실현」의 두 번째 부분인 「b. 마음의 법칙과 자만의 광기」는 기존 질서에 대항하는 근대적 개인주의의 한 형태가 현실에 의해 실패하는 과정의 서술이라고 이해되어 왔다. 본 논문은 b에서 인간 행위의 본성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해석을 하고자 한다. 헤겔은 여기에서 인간 행위에 대한 규정이 마음의 법칙으로 개념화된 각 개인의 주관성이 아니라 상호주관적인 인륜성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 이뽈리트로부터 시작된 기존 해석을 정리하고, 이어서 마음의 법칙의 성격에 대해서 논의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The Way of World and the Actual Good. 이석배 - 2024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70:39-77.
    『정신현상학』, 「V. 이성의 확신과 진리」, 「B. 이성에 의한 이성적인 자기의식의 실현」의 「c. 덕성과 세계운행」에 대한 기존의 해석은 대체적으로 덕성의 의식을 근대 개인주의의 한 형태로 보고, 이 근대적 개인주의를 헤겔이 비판하는 것이 c의 내용이라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텍스트에 충실한, 좀더 포괄적인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기 위해서 우선 「A. 관찰하는 이성」에서부터 나타나는 헤겔의 의도를 검토할 것이다. B에서의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 A에서 헤겔에 의해 직접적으로 서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B의 서론을 상세히 검토할 것이다. 이 서론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