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6
    Frankfurt's Understanding of Moral Responsibility. 이상희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32):111-134.
    프랑크퍼트식 사례 논증은 양립가능론과 양립불가능론 간의 치열한 논쟁의 중심에 있다. 본 연구는 프랑크퍼트식 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쟁을 다루기에 앞서, 논의의 시작점인 프랑크퍼트의 논증을 면밀히 분석하여 자유의지와 도덕적 책임에 관한 그의 주장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프랑크퍼트는 인간에 대한 독특한 이해를 바탕으로 형이상학의 전제 없이 도덕적 책임의 귀속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해명한다. 대안 가능성의 원리에 대한 프랑크퍼트의 비판은 ‘인간으로서의 자유의지’를 기초로 인간 행위에 도덕적 책임을 부여하는 철학적 이론화이며, 도덕적 책임에 관한 그의 입장은 그의 다른 논의와의 연계에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3
    The Moral Education in the Formal School as an Inheritance of Traditional Education. 이상희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9):97-1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historicity of moral education in school and particularly to cast light upon implications that the subject of self-cultivatio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gives to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By representing characters of traditional education concerning goals and contents that the subject of self-cultivation in the modern formal school has, I raise a question about the moral education in the formal school was created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insist that it can be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0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Neurobiology for Altruism. 이상희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109-128.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 본성에 대한 신경생물학의 접근 방식을 이해하고, 구체적으로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 사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기술윤리학으로서의 가치와 필요를 인정받아 온 생물학 연구가 기술윤리학으로서 상당히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먼저, ‘심리적 이기주의의 논변’을 통해 인간 행동을 심리적으로 검증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설명하고, 이러한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경생물학이 인간 행동에 대하여 시도하는 새로운 접근을 이해한다. 그 다음, 구체적인 신경생물학 연구 사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생물학적 윤리론의 한계를 밝힌다. 그리고 기술윤리학으로서 지위를 얻기 위해 신경생물학 연구가 나아갈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