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The State and Church in Kierkegaard’s Philosophy. 오신택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75-199.
    지금까지 국내외를 막론하고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관한 역사적 논의, 특히 독일관념론 시대의 논의와 연계하여 이들 양자를 키에르케고어가 과연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다룬 연구는 미흡하다. 나아가 이 논의를 키에르케고어의 이론철학, 곧 지식과 믿음의 관계에 대한 논의와 연계하여 다룬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 래서 키에르케고어의 국가-교회론에 관한 주장을 그의 지식-믿음론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이를 독일관념론, 특히 헤겔, 칸트, 셸링의 국가-교회론과 연계하여 살펴볼 것이 다. 이를 통해 그의 종교-정치론이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지니는 의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9
    Examining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 On Focusing Socrates and Raabe. 오신택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79-208.
    1980년대 서구 철학계에서 철학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철학실천/철학상담이 라는 이름 아래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는 철학과 현실의 괴리를 극복하고 소크라테 스가 했듯이 삶 속에서 철학하려는 운동이다. 국내에도 이런 영향으로 철학실천/철학상담 이란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론 차원의 연구와 교육에 머물고 있다. 이는 철학실천/철학상담의 정체성 확립이 충분하지 못한 데서 기인하며 정체성 문제는 곧바로 철학상담의 방법론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 같은 답보상태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철학 상담의 원조인 소크라테스의 철학하기를 살펴보고 철학상담의 주도적 연구자 중 한 사람 인 라베의 입장을 살펴본다. 이를 매개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Reason, Moral, Christianity and State - Focusing Kant and Kierkegaard -. 오신택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29-159.
    인간은 예나 지금이나 일정한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삶을 영위해왔다. 특히, 우리의 삶 이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면서 ‘국가’라는 공동체가 우리 삶에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오늘날 그 누구도 국가 없이는 살아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만큼 개인과 국가는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때로는 국가가 더 중시되기도 하고, 때로는 개인이 더 중시되기도 했지만, 이 둘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실 국가가 과 연 우리 각자의 존엄성과 온전한 자유, 나아가 영원한 행복을 약속해 줄 수 있는가에 관해 서는 여전히 의문이다. 비로소 인간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The Influence of 1848 Revolution on Kierkegaard. 오신택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75-289.
    1848년 유럽혁명은 마르크스와 키에르케고어 뿐 아니라 많은 유럽 사상가들에게 중요한 해였다. 덴마크에서 1848년의 혁명적 상황은 남성들에게 보편적 선거권을 부여하고 전투적인 덴마크 민족주의를 발흥시키면서 전제군주제로부터 대중지배의 의회 군주제 국가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들 속에서 키에르케고어는 이제껏 자신이 받은 것 중 가장 강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인상을 받는다. 1848년의 혁명적 변화 속에서 그는 역사와 그리스도교, 자신의 저작활동에 대한 개관을 완성하려고 애썼다. 1848년은 키에르케고어로 하여금 자기 사상이 새로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것이라고 확신하게 만들었다. 그리스도교와 그리스도교 국가의 차이점을 혁명의 소용돌이 가운데 그는 분명히 인식했다. 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