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Ecolog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the Aesthetic of William Morris. 서희주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53-168.
    모리스의 생태적 사유의 출발은 19세기 사회적 상황과 관련 있다. 그의 사유는 당시의 산업혁명의 결과로 나타난 사회적 부조리에 기초한다. 삶의 환경이 악화되고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생산품은 규격화되고 형편없는 품질의 제품들이었다. 따라서 그는 기계로 생산되는 제품을 부정하고 인간의 솜씨를 통한 창의적인 제작과정으로 생산되는 제품이 아름답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그가 주목했던 도시의 미관과 도시 생활자들의 열악한 생활환경에 대한 우려와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보건위생의 악화는 도시화의 결과였고 이것은 산업혁명에 의한 산업화의 부작용이기도 했다. 도시화에 따른 보건 위생, 생태적 위기, 근대 건축물의 등장은 모리스로 하여금 자본주의 체계가 야기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Public Ethics and Civic Consciousness in Public Art. 서희주 - 2024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7:99-114.
    공공미술은 1930년대 미국의 뉴딜 정책 일환으로 시작되어, 건축물의 미적 가치와 도시미관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한국에서는 1972년부터 공공미술 설치를 법으로 의무화하여 진행해 왔고, 2011년에는 ‘건축물에 대한 미술작품의 설치’ 법이 개정되었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도심 재생이나 상권 활성화 등의 목적으로 공공미술을 추진해 왔다.BR 공공미술이 예술가의 자발적인 창작활동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이나 일정한 목적에 의해 계획되고 시행된다는 점에서, 공공미술의 설치와 운영 과정에서 공공윤리와 공공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 그 이유는 공공미술 작품들이 일상적인 공공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미술작품 전시 방식과 달리 생활 속에서 대중과 직접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0
    The concept of labor and leisure in the aesthetic of William Morris. 서희주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85-201.
    이 논문은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1834-1896)의 노동과 여가 개념을 분석하고 우리 시대의 대안적 모델로서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모리스는 예술과 노동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노동을 하나의 창조적 생산 활동으로 분석하고 이것을 미적 활동이라고 규정했다. 여가는 노동에 수반되어야하는 휴식으로 노동의 원동력으로 생각했다.BR 모리스는 자신이 주장한 예술 이념으로부터 노동의 본질을 탐구했다. 그러므로 그의 사상 중심에는 예술이 있다. 예술가이면서 사회주의자이기도 했던 그는 예술이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변화시킬 수 있듯이 사회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을 가졌다. 그에게 예술은 우리 일상의 모든 사물과 환경이었고 이것을 제작하는 노동자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0
    The Cultural Politics of Biennale and Importance of Art Discourse. 서희주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53-68.
    비엔날레는 전 세계적으로 양적 성장을 해 왔으며 각 국가 간의 경쟁적 개최로 인한 피로감이 누적되어 왔다. 이미 많은 비엔날레가 존재하고 사회적, 미학적 가치가 결여된 보여주기 식의 행사가 범람함에도 정치적인 목적으로 또는 개최지의 홍보와 경제적 이익이라는 환상을 쫓아 새로운 비엔날레들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엔날레가 더 이상 예술로 소통하고 예술의 가치를 통해서 인류의 발전을 꾀하는 축제의 장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개최되는 행사가 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은 비엔날레의 역할을 재검토하고 예술적 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비판적 시각을 요청한다. 본 논문은 이 부분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1
    Women"s Labor in William Morris"s Aesthetics. 서희주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43-58.
    영국의 산업혁명은 정치,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영국에서는 노동 기회가 확대되었고 여성 노동자들에게 고용기회가 주어졌다. 이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적 참여가 많아졌다. 그러나 여성 노동자들은 빈번한 실업과 열악한 노동환경 속에서 고통 받았다. 더군다나 가사노동까지 맡아야 했던 당시의 상황에서 여성 노동자들은 여러 면에서 힘든 생활을 보낼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노동의 현장에서 일을 하지 않아도 되었던 여성들은 전통적인 여성관에 사로잡혀 있었다. 여성의 자리는 가정이라는 인식이 강화되었고 남성 노동자들은 아내가 가정에 안주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BR 이와 같은 사회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