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Hume's Empiricist Dualistic Model. 백승환 - 2024 - Modern Philosophy 24:213-253.
    필자는 이 글에서 서양근대 경험주의 사유를 체계적으로 집성한 철학자로 평가받는 흄이 그의 철학 체계 내에 수용하는 이원주의 모델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일단 논의는 첫째, 사실상 흄의 이원론적 사유가 전통적 구도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인간학의 기조에 들어맞게 곧 대안으로 오히려 구도가 취해지게 된다는 사실이 강조될 것이다. 다음으로, 둘째, 공간성을 바로 지각들의 내적-외적 이원화를 위한 척도로 흄이 제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지각들 중에서도 공간성을 규명하는 시도에 부합하는 것으로 시각과 촉각이 실제로 언급되는 상황에 필자는 무엇보다 주목할 것이다. 마지막 셋째 논의는, 지각들의 체계적 이원화에 이르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9
    Computationalism, Connectionism, and Kant’s Architectonic. 백승환 - 2024 - Modern Philosophy 23:87-131.
    본고는 오늘날의 철학적 화두인 인공지능 문제를 계산주의자들과 연결주의자들이 어떻게 상반되게 다루는 것인지를 검토한 후에 칸트의 건축술적 방법론에 기초해서 양자의 유의미한 절충을 기도한다. 첫째, 필자는 서양근대 철학사에서 완전히 반대됐던 두 입장들인 이성주의와 경험주의가 계산주의와 연결주의가 형성하는 긴장에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하여, 비판기 칸트의 사유가 이성주의와 경험주의의 절충에서 실효를 보였듯이 크게 다르지 않게 계산주의와 연결주의의 절충에도 실효를 보일 것임을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특히 양자에 공유되는 체계성과 조합성을 중심으로 삼아서 실제로 계산주의와 연결주의가 맞서는 상황을 단계별로 꼼꼼히 검토한다. 셋째, 칸트의 비판철학적 통찰을 구현하는 방법론인 건축술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5
    Kant, Strawson, and the Second Analogy of Experience. 백승환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07-127.
    본고는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에서 〈제2 경험의 유추〉(A189211/B232256) 라는 이름 아래 펼친 논증에 대한 스트로슨P. F. Strawson의 비판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제2 경험의 유추의 가장 핵심에 놓인 칸트의 논증을 추려 재구성한다. 둘째, 그러한 논증에 대한 스트로슨의 비판을 구조화하고, 그의 비판의 체계 내적 문제점을 상세하게 드러낸다. 셋째, 마지막으로, 설령 스트로슨의 해석이 앞서 제기된 모든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그의 해석이 향하는 초점은 실제로 칸트의 논증이 아님을 밝힌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칸트의 논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