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A Study on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of Feminism Ethics. 박종모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119-156.
    본 연구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양성평등주의 윤리학의 기본적 전제와 도덕적 모델들을 기반으로 그 도덕적 가치를 고찰하여 보고, 도덕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첫째, 양성평등주의 윤리학은 ‘성 차이’를 전제로 ‘평등’을 추구하는 윤리학이며, 젠더라는 범주를 활용하여 여성 전체성이 인정되는 새로운 인간관계와 가치질서의 수립을 목표로 삼는다. 보봐르의 ‘동등성’의 모델과 이리가라이의 '차이'의 모델의 내용을 요약하면 한마디로 여성의 참다운 주체실현을 위하여 서로의 이원성이 존중받는 자아와 타자 사이의 새로운 인간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보봐르와 이리가라이를 통해 드러난 ‘동일성’과 ‘차이’의 모델은 길리간에 의해 배려와 책임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The Moral Educational Meaning of John Dewey's Ethics. 박종모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217-256.
    본 논문의 목적은 존 듀이 윤리학의 성립근거를 자연주의적 인간관과 가치관에 의하여 규명하여보고, 도덕적 선과 성장 및 공동선의 문제를 살펴보며, 끝으로 듀이 윤리학이 가지고 있는 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혀보는데 있다. 듀이의 윤리학은 자연주의적 경험론의 입장에서 인간본성을 파악하고, 충동, 습관 그리고 지성과 같은 인간본성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윤리적 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양자택일이 가능한 모든 상황에서 관심과 욕구가 가치발생의 일차적 조건임을 인정하지만, 동시에 평가하는 행위를 통해 가치가 발생한다고 보아 가치에 있어서 지성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지 않는다. 인간본성과 가치개념을 바탕으로 한 듀이의 도덕적 선은 전통윤리학에서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The Method of Gender Equit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 In a view point of the Feminism Ethics -. 박종모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8):135-170.
    본 연구는 양성평등을 추구해왔던 페미니즘 윤리의 평등개념과 양성평등이 지니는 도덕적 가치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도덕과 양성평등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페미니즘 윤리에서의 평등의 개념은 ‘동등성으로서의 평등’, ‘차이 속의 평등’, ‘상호성과 다양성 인정으로서의 평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개념들은 각각 우열의 관계라기보다는 연속적 발전과정으로 이해해야한다. 둘째, 페미니즘윤리에서 추구하는 양성평등의 도덕적 가치는 인간존중과 그 실현조건으로서의 자유, 상호적 주체성, 배려와 다양성 존중 등이다. 인간존중과 자유는 도덕적 이상이 된다는 점에서, 상호적 주체성은 도덕적 행위의 주체라는 점에서, 그리고 배려와 다양성 존중은 양성평등을 실현할 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