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Characteristics of Three-Facet Clean Sila and Its Meaning in the Moral Education Aspect. 고대만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7):205-234.
    본 논문은 삼취정계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삼취정계는 세 갈래의 깨끗한 계율이라는 뜻으로, 율의계, 섭선법계 그리고 요익유정계를 일컫는다. 율의계는 지악(止惡) 즉 악행을 그치는 것을 명령하고, 섭선법계는 깨달음에 도움이 되는 좋은 특질들을 연마하도록 규정하며, 요익유정계는 물질적으로 정신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존재들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삼취정계는 4개의 무거운 잘못과 43개의 가벼운 잘못을 포함하고 있다. 삼취정계의 내용적 특징은, 그것이 최소도덕은 물론이고 최대도덕을 포함하는 포괄성을 지닌다는 점, 이타성을 강조한다는 점, 자리성 또한 의식되고 있다는 점, 방편의 사용이 적극 권장된다는 점, 그리고 행위자의 의도를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5
    Multiculturalism in view of Buddhist Non-selfㆍInterdependence Thought. 고대만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9):185-207.
    특정 집단의 문화의 고유성을 주장하되, 그 고유성이 ‘불변적 실체’로서 생명력을 갖는 것으로 상정될 때, 다문화주의는 필연적으로 다문화주의를 가장한 분리주의로 치달을 가능성이 농후하고, 이것은 ‘모든 것은 불변적 실체를 갖지 않는다’는 불교의 무아사상에 비추어볼 때 온당하지 않다. 일시적으로는 견고하고 불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긴 시간을 염두에 둘 때 ‘불변적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변적 실체’가 있다고 믿게 되고 그것에 집착하게 되는 것은 우리의 사유가 빚어낸 조작의 놀음에 기인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불변적 실체’를 상정하는 그런 류의 동화주의나 다문화주의는 존재론적 사실에 입각한 주장이라고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8
    Thich Nhat Hanh's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고대만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3):61-87.
    이 글은 불교 교리의 가장 근본이라 할 수 있는 12연기론을 바르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선수행을 하는 현대의 선사들의 12연기관을 비교함으로써 12연기에 대한 이해의 미흡함을 채워보려는 시도이다. 아함경전에도 12연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기술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만큼, 초기부터도 12연기에 대한 해석은 다양했지만, 삼세양중인과설은 12연기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였다. 더우기 현대의 선 수행자 중에서 청화선사는 삼세양중인과설을 12연기 이해의 표준으로 삼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숭산선사, 성철선사, 틱냣한선사는 12연기를 삼세양중인과설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숭산선사는 12연기의 각 고리가 미묘한 정신활동의 연쇄로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3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Path of Purification』and Its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고대만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8):89-124.
    12연기를 오온의 시간적, 계기적 인과로서 이해하는 입장과 그것을 무시간적 존재연관으로 이해하는 입장 중에서, 본 논문은 전자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12연기는 인생고(人生苦)의 발생양상과 인생고의 소멸계기를 잘 드러낸다고 판단된다.『청정도론』은 무명, 행, 식, 명색, 육입,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로 이어지는 12연기를 오온의 시간적, 계기적 인과로서 이해한다. 12연기에서 세 번째 고리인 식을 재생연결식으로 이해하고 있고, 열 번째 고리인 생을 다음 생으로의 태어남이라고 본다. 세 번째 고리 이전인, 무명과 행을 과거에 해당한다고 보면, 다음 생을 받기 이전인 식(재생연결식)부터 유(업의 생성)까지는 현재에 해당하고, 다음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