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and Significance of Drinking Parties as Virtue Education: Symposia in Plato’s Laws Book 1 and 2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22 (2024)
  Copy   BIBTEX

Abstract

올바른 입법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법률』의 논의 중 주연 제도에 대한 아테네 인의 설명은 1, 2권의 대부분의 분량을 차지할 정도로 방대하다. 그럼에도 기존 『법률』 연구에서 주연 제도에 대한 논의는 마땅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주연 제도가 ‘공동체의 자발적인 조화’(symphōnia)라는 입법의 목표를 위해 법률이 교육의 기능을 한 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예증이라고 주장한다. 플라톤은 주연 제도를 통해 법률이 교육의 역할을 해야만 한다는 점과 함께 그 역할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는 물론, 공동체의 조화와 우애라는 입법의 목표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교육’의 의 미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국가』에서의 ‘혼의 전환’으로서의 통치자 교육이 아닌, ‘전체 적인 덕’의 추구를 위한 교육이며, 이는 다름 아닌 법률의 내용을 따르는 것이 좋음을 아 는 것, 즉 절제(sōphrosynē)의 함양을 위한 교육이다. 시민들은 현명한 통솔자가 감독하 는 주연에서 술에 취함(methē)이라는 사태를 통해 고통과 쾌락을 이겨내는 경험을 해볼 수 있는데, 이러한 안전한 훈육을 통해 입법가들은 법률의 가르침을 전달한다. 디오니소스 제전 중에 열리는 주연은 특히 나이가 들어 법률의 설득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시민들을 다시금 훈육하는 기능, 즉 ‘올바른 교육의 보존’이라는 기능을 갖는다. 주연의 참석자들이 술을 마심으로써 경직된 혼의 상태로부터 벗어나 기꺼이 통솔자의 가르침을 따르게 되어 모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전체 구성원들 간에 한마음 한뜻(homonoia)이 이루어지 며 결과적으로 친애(philia)가 생기게 된다. 마치 주연의 구성원들이 현명한 통솔자를 자발 적으로 따라 주연이 성공적으로 행해지는 것처럼, 나라의 구성원들도 법률을 자발적으로 따르면 전체 시민들 사이에는 평화와 우애가 생기게 될 것이다. 따라서 주연 제도는 법률의 교육 기능이 작용하는 방식을 보여줌과 동시에 입법의 목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법률』 전체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5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Rationality of Persuasion in Plato’s Laws. 강규태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2 (92):3-36.
A Study on the Debate on the Authenticity Plato’s Seventh Epistle. 김은주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1-28.
A Critical Study of Plato s Theory of Education. 배상식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65-296.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Paintings as the basic category of Platonism (Plausible Story: eikotes logoi). 임연정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6 (86):279-318.
Socrates’ Elenchus in Plato’s Philebus. 강유선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91-127.

Analytics

Added to PP
2024-05-23

Downloads
8 (#1,586,042)

6 months
7 (#730,54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