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otard’s Aesthetics of the Sublime and Integrated Art Education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2:169-200 (2019)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숭고의 미학의 통합예술교육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숭고의 개념은 이성과 사고로는 도달할 수 없는 새로운 영역을 개방해준다는 점에서, 지식과 이성 중심의 근대적 교육의 체계 하에 적지 않은 갈등과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의 교육환경에 모종의 빛을 던져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숭고 개념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모던적 미의 예술과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예술을 대결시키면서, 양자의 간극을 규명하기 위해 고고학적 방법을 적용하고, 이어서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개념을 천착함으로써 선진 산업사회에서 숭고와 교육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내고, 끝으로 숭고개념을 통한 통합예술교육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모더니즘에 근거한 교육이 숭고의 감정을 존중하고 고양하는 과정을 간과하였고, 그 결과로 숭고의 감정을 통하여 발현되는 순수한 상상력의 가치를 무시해 왔다면, 포스트모던적 숭고교육론은 현시할 수 없는 것을 현시하고 암시하기 위해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의 배양을 필요로 한다. 즉 포스트모던적 입장은 숭고의 교육관에 따라 표현될 수 없는 사고가 존재함을 인정하고, 그 사고를 기르는 상상력의 고양을 교육내용으로 편입하고자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숭고개념이 교육이론과 실제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 가능성과 그 방법이 제시되며, 숭고의 미학에 기반한 통합예술교육은 피교육자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데 적잖이 이바지할 것이라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그러므로 숭고의 고고학적 사유에 입각하여 지식과 아름다움에 의해 은폐되었던 것들의 가치를 드러내고, 이성을 통한 사고로부터 상상력을 통한 사고로의 전환에 의해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열고, 타자의 교육학을 실현하기 위해 숭고에 기반한 통합예술교육을 제안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0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Rediscovery of Modern Sublime Concepts: Focusing on Nicholas Boileau. 정다영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8:61-84.
On the Life Which is Shown What Cannot Be Said. 하영미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93-420.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in Moral Subject Education. 이정렬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9):205-235.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이상형 - 2024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60:27-55.
Personality Educational Implication of Toigye’s Thought. 이현지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313-331.
John. D Caputo’s phenomenology of (God of) Weakness. 윤동민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2:29-61.
A Understanding of Shame and Humanity - by focusing on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신은화 - 201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8 (88):317-33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9 (#1,526,266)

6 months
3 (#1,473,72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