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7세기 율곡학파 내부에서 논의된 智와 知覺의 관계 문제는 일차적으로 智 개념에 대한 호병문의 해석이 타당한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것이었다. 호병문은 『대학장구』 小註에서 智를 ‘마음의 神明’으로 규정하면서, ‘具衆理⋅應萬事’ 대신 ‘妙衆理⋅宰萬物’이라는 술어를 채택해 마음이 지닌 주재성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한다. 여기서 호병문의 취지는 ‘知覺’ 개념이 마음의 주재 역량과 긴밀하게 연관됨을 주장하는 것이었으나, 그는 智와 知覺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아 마치 智가 직접 ‘妙衆理⋅宰萬物’의 작용을 수행하는 것처럼 진술함으로써 논란의 여지를 남기게 된다. 이에 김창협은 호병문이 ‘知覺’에 해당하는 술어를 ‘智’에 적용함으로써 心과 性의 엄연한 구분을 무시하고 ‘認氣爲理’ 또는 ‘以心爲性’의 오류를 범하였다고 비판한다. 나아가 김창협은 智와 知覺이 본질적으로 별개의 범주에 속하며 양자 간에는 본체(體)와 작용(用)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그는 智와 知覺을 道와 器의 관계로만 규정하며, 같은 맥락에서 心과 性의 관계 또한 주체(能)와 객체(所)의 관계로 보는 입장을 정식화한다. 김창협에 따르면 ‘知覺’이란 ‘智’의 현상화된 양태가 아니며, 본성을 운용하여 정감으로 현실화시키는 ‘心’ 주체의 본유적인 주재능력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와 달리 김간은 ‘知覺’에 의한 마음의 주재가 가능한 것은 그 연원에 ‘智’라는 근거가 자리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김간은 智와 知覺의 연계성을 부인할 경우 지각이 ‘본체 없는 작용’이 되어버린다고 김창협을 비판한다. 그는 ‘지각’이 마음의 주재적 역량을 드러내는 핵심개념이라는 점에 동의하지만, 그러한 주재성을 발휘하는 지각의 활동은 智에 근거한 모종의 도덕적 내용에 바탕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