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dentity in Cyber-Community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9):133-159 (2010)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공동체라는 조직 속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이다. 이를 위하여 사이버 공간의 사회적 성격을 규명해 보고, 사이버 공동체 속에서 활동하는 개인의 정체성에 관한 특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사이버 공동체가 형성되면서 집단 구성원들은 서로 그 공동체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그 정체감은 공동체 스스로가 내세우는 목표에 의해 일사불란한 형태로 만들어지기 보다는, 참여하는 개인이 각각의 활동을 중심으로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사람들마다 독특한 내용으로 만들어진다. 그 공동체의 정체감은 개인의 특성과 공동체의 특성 모두를 반영한 그 사람만의 사이버 공동체 정체성이다. 이런 정체감은 점차 특정 원형(prototype)의 모습으로 구체화되면서 공동체 구성원들이 서로 강하게 결집되어 있다는 느낌을 가지는데 기여한다. 사이버 공동체라고 정의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상의 많은 집단들은 흔히 현실 공간의 집단만큼 강한 결속력은 가지고 있지는 않다. 회원으로 등록을 하지만, 탈퇴는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자신이 얼마나 많은 집단의 회원인지도 모를 정도로 쉽게 회원이 되기 때문이다. 또 사이버 공간에 자주 형성되는 포럼과 같은 자리도 한순간 뜨거운 논쟁이후 순식간에 사라져버리곤 한다.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각각의 상황과 역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에 복합적이다. 이 경우 복합성은 특정 개인의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모습이 관계의 속성에 따라 성별이나 연령까지도 뛰어넘는 자기 진화로 나타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75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Moral Responsibility of Communities. 변순용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7):1-20.
Discourse and Desire: Focusing on the thought of Yogācāra and M.P. Foucault. 안환기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0 (40):135-157.
Ethics of Public Health and Communitarianism in the Pandemic Era. 김진경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03-121.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10 (#1,478,542)

6 months
4 (#1,269,56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