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Jungyong gugyeong yeonui'

Order:
  1.  10
    Special Features of I Eonjeok’s Jungyong gugyeong yeonui and Yeonui byeoljip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ought of Confucian Classics in Korea. 엄연석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3:175-206.
    This essay elucidates special features of I Eonjeok’s Jungyong gugyeong yeonui and Yeonui byeoljip, mainly in comparison with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Zhongyong. It also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ese two works in I Eonjeok’s entire thoughts on Confucian classics. I Eonjeok understands the Daxue in accordance with Neo-Confucianism, especially when he regards the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 [窮理] as the precondition for correcting the mind [正心]. In addition, he interprets ‘one’ [一] as the sincerity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The Middle Path’(中) in Jungyong and the Being by Hidegger. 황경선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459-486.
    이 글은 중(中)의 관점에서 『중용』과 하이데거를 비교하며 대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비교 가능성은 현상학적인 존재론의 틀 안에서 성립한다. 즉 이글은 『중용』에서 중(中)은 존재자의 존재로서 스스로 그 자체를 내보이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또 두 사유가 가능한 자기 고유의 관점과 전체 틀 안에서 서로를 진술하도록 했다. 이 글의 의도상 양자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우선 모색되고 양자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침묵속에 있었다. 양자의 자기주장을 글의 순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BR 1. 존재와 중은 발현의 사건이다.BR 2. 존재 또는 중과 인간은, 존재가 인간을 향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