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Diginity'

4 found
Order:
  1.  20
    Human Diginity after Agustine's Imago Dei: On the Sources and Uses of Two Ethical Terms.Matthew Puffer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Christian Ethics 37 (1):65-82.
    This essay considers how Augustine's writings on the imago Dei might shed light on contemporary human dignity discourse and on debates about the sources, uses, and translations of these two terms. Attending to developments in Augustine's expositions of scriptural texts and metaphors related to the imago Dei, I argue that his writings exhibit three distinct conceptions of the imago Dei that correspond to three accounts of the imago Dei and human dignity offered by Pico, Luther, and Aquinas, respectively. This plurality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4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citations  
  2.  15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Dignified Society. 송인창 & 정영기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7 (67):5-30.
    이 글의 목적은 동서양의 철학적 관점에서 품격있는 사회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필자들은 공리주의자 밀의 품위감과 유가철학의 인의(仁義)와 신(信) 개념에 기초해서 품격있는 사회를 분석한다. 품격을 뜻하는 영어 단어 diginity의 라틴어 어원은 dignitas이다. 서양철학자 중에서 diginity를 언급한 철학자는 존 스튜어드 밀(J. S. Mill)이다. 밀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인간고유의 품위감(a sense of dignity)이 있기 때문에 결코 단순히 쾌락의 양에 의해서만 지배되지 않는다. 밀은 이익융합의 원리(the principle of the fusion of interest)를 받아들이고 있는데, 이것은 자기발전과 타인에 대한 배려라는 두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인간이 그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On the Permissibility of Suicide Due to Suffering in Kant's Ethics. 이현우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4 (94):57-92.
    이 글은 고통에 따른 자살이 칸트의 입장에서 정당화될 방안이 있는지에 관해서 탐구한다. 자살에 관한 칸트의 입장을 보다 느슨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현대의 입장은, 주로 자율성의 큰 손실이 일어날 경우에 있어서 칸트의 입장이BR/자살을 허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방식의 안락사 허용에 대한 현대의 관행은 이와 같이 자율성에 근거해서가 아니라 주로 육체적 이유에 따라 안락사를 허용한다. 따라서 칸트의 입장에 대한 기존의 해석은 고통에 따른 안락사를 허용하는 현실의 관행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글은 칸트 윤리학에서 고통에 근거한 자살의 허용 가능성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93
    The phenomenology of moral normativity.William Hosmer Smith - 2011 - New York: Routledge.
    The topic of this book is a fundamental philosophical question: why should I be moral? Philosophers have long been concerned with the legitimacy of morality's claim on us, especially with morality's ostensible aim to motivate certain actions of all persons unconditionally. While the problem of moral normativity - that is, the justification of the binding force of moral claims - has received extensive treatment analytic moral theor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otential contribution that phenomenology might make to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c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