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derivation of the “supreme principle of morality” in Groundwork of Metaphysics of Moral I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6:49-80 (2022)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칸트 특유의 ‘실천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칸트의 행위이론을 다룬다. 먼저, 칸트의 고유한 이성 개념, 즉 ‘실천이성’의 의미를 분명히 한 뒤, 도덕 외적인 차원까지 포괄하여 칸트의 행위 개념을 고찰한 다음, 칸트 철학에서 도덕적 행위이론을 위한 전제들을 탐구한다(Ⅱ). 다음으로, 자연인과성에서 귀결되는 행위 일반과는 다른 종류의 인과성 및 다른 행위의 가능성을 탐구한 뒤, 『도덕형이상학 정초』의 실천이성과 의지의 동일시 논변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행위의 성립 조건과 실천적 필연성 혹은 이성의 강요(필연화)를 살펴본다(Ⅲ). 이를 통해 이 글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칸트의 설명이 훨씬 더 복잡한 중층 구조를 지닌다는 점을 부각하고자 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5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Kant on Practical Reason and Action.오창환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33-64.
칸트의 1770년대 도덕철학에서 판정원리와 실행원리. 오창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31-54.
Virtue and the Duty of Moral Perfection. 노영란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83-105.
Personal Identity in Parfit and Kant. 박경남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143-179.
On the Permissibility of Suicide Due to Suffering in Kant's Ethics. 이현우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4 (94):57-92.
Study on the Origins of Kant’s Virtue Theory. 이원석 & 김태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9-47.

Analytics

Added to PP
2022-11-21

Downloads
17 (#1,161,857)

6 months
7 (#740,04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Author's Profile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