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and Substance in the Early Theological Writings of Leibniz

Modern Philosophy 20:331-357 (2022)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라이프니츠의 초기 신학적 저작에서 성체 변화와 실체적 합일에 관한 논증에 나타난 물체와 실체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청년기 라이프니츠의 주요 철학 저작은 자연 신학의 형태로 제시된 자연 철학으로 제시되었고 여기서 정신, 물체, 실체는 논증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으로 등장한다. 나는 이 논문에서 라이프니츠가 기계론의 물체 개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고 그 물체 개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적 형상 개념을 조화시켜 성체 변화와 실체적 합일을 증명했다는 것을 밝힌다. 기계론 철학은 비물체적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 기하학적 성질인 연장과 물리적 성질인 불가입성으로만 물체를 설명하고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라이프니츠는 이 기계론의 물체 개념을 한편으로는 비판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성체 변화와 실체적 합일 같은 신학적 문제에 대해서 논증할 수 있는 장점으로 여긴다. 그 논증에서 그는 물체의 실체를 ‘동반하는 정신과의 합일’이라고 주장한다. 라이프니츠의 정의에 따르면, 실체는 활동의 원리, 물체에게는 운동의 원리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물체 그 자체는 운동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물질적인 것이기 때문에 활동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는 실체인 정신과의 합일을 통해서 운동을 부여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라이프니츠는 이런 물체의 실체 개념을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적 형상이 플라톤의 이데아와 조화롭게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결론적으로 기계론의 물체 개념과 형이상학적 물체의 실체 개념은 이 당시 청년 라이프니츠가 형성한 물체에 대한 두 관점이며, 이 두 관점은 물체 현상론과 물체적 실체라는 주장으로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어진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85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ylomorphism and the Grounding Problem.Seok Man Kang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9:253-274.
What Plato learns from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 In the Case of the Theory of four Elements -. 손윤락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4 (64):227-255.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에서 주어-술어 이론의 존재론적 함의. 손윤락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3 (93):77-98.
Zero, one, many - Alain Badiou’s conception of multiple -. 장태순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1:151-170.
Hobbes and Leibniz : the Functions of the Character. 이상명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7:113-140.
Aristotle on the Potential Infinite. 오진영 & 김창주 - 201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0):85-115.
A study on the concept of immutability emerged in the Han time. 엄진성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6 (66):169-19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25

Downloads
8 (#1,589,825)

6 months
7 (#749,52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