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nowledge Theory of Pre-Qin Period Confucianism – Reviewing Types of Knowledge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5 (95):77-116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지식 체계로서의 유가 사상이 전제하고 있는 지식론을 검토하고, 앎의 유형이라는 측면에서 유가 지식 체계의 특성을 고찰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식’의 사전적 정의 하에 ‘앎’ 혹은 ‘안다’는 말의 의미는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논어』에 전제되어 있는 유가 지식체계의 속성은 무엇인가, 유가 지식론은 어떻게 확장되고 또 그것은 스스로 정립한 지식론에 근거하여 타당한 지식체계인가 등의 세부 주제를 논의하고자 했다. ‘안다’는 말은 고대그리스, 라틴어, 아랍어, 독일어 등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분화되어 있지만 그 중 대상에 대한 앎을 지칭하는 용어가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이는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지식의 두 가지 기준, 즉 알고자 하는 대상이 ‘있는 것’이어야 하고 인식 주체의 상태가 ‘틀리지 않음’의 상태여야 한다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 기준을 유가 지식론에 적용하면, 『논어』의 지식론은 앎의 대상을 사람으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이 뚜렷한 특징으로 드러난다. 게다가 사람은 주관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행위한다는 점에서 사람에 대한 지식은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두 가지 기준 외에 이유알기 유형의 앎이 요청되었다. 특히 이유알기는 방법알기와 대비됨으로써 그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었는데, ‘왜’의 물음을 취하는 이유알기와 ‘어떻게’의 물음을 취하는 방법알기의 결정적 차이는 지식 추구를 통해 얻게 되는 내용과 결과가 사람을 지향하는가 아닌가의 차이로 귀결되었다. 앎의 두 유형 분류는 오랜 전통에서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를 각각 ‘道’와 ‘器’로 구분하는 「계사전」의 서술이 있었고, 그 외에 군자와 소인의 구분이나 大學과 小學의 분류도 이유알기와 방법알기의 맥락을 계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가 지식론이 갖는 뚜렷한 특징은 이유알기의 유형이며, 앎의 유형 분류는 지식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오랜 논쟁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으로 확장될 수 있었는데, 지식을 이유알기 유형으로 이해할 경우 지식과 실천 사이에 특정한 매개가 필요치 않으며, 그것은 선택과 의지의 문제라기보다는 아는가 모르는가에 의해 실천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 지식과 실천의 굳은 결속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유가 지식 체계는 스스로 정립한 지식론에 비추어 정당하고 바른 지식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4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Consideration about Dharmakīrti's Condition of ‘avisaṃvādin’. 권순범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 (38):27-56.
A Study on the Confucian Natural Legal Ideology Embodi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문효남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6 (56):47-80.
A New Interpretation of the JTB Knowledge Definition - Escaping from the Gettier Maze -. 이기흥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7:95-116.
A study on the Practical Aspects in Hsün-tzu's Theory of Knowledge. 이규상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3 (73):423-440.
A study on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language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03-123.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8 (#1,112,360)

6 months
3 (#1,470,63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