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n Ethical Culture Leadership - Focused on the Case of King Sejong' Leadership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7):279-306 (2014)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리더십을 공동체적 삶의 보편적 원리에 기초한 윤리문화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리더십의 관계와 과정, 기술에 내포된 윤리문화적 메카니즘을 식별하고 해석, 검증한 것으로서 유효성과 실증적 방법에 기초한 기존의 접근방법과는 구별된다. 주요 내용은, 첫째, ‘윤리문화’의 개념 정립과 리더십의 윤리문화적 접근방법의 설정이다. 윤리문화는 구성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가치에 대한 사고와 행동의 기준으로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의 균형적 조화와 윤리적 실천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윤리문화의 사고와 행동체계를 리더십에 적용하여 리더십의 구조와 기능을 근본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윤리문화적 리더십 모형 구축이다. 리더십의 관계, 과정, 기술에 있어서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의 균형적 조화와 윤리적 실천을 통해 갈등극복, 문제해결, 동기부여의 리더십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함으로써 개인목표와 함께 공동목표를 달성하는 진정한 영향력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셋째, 세종대왕 리더십 사례 분석이다. 세종대왕 리더십은 대의와 위민과 덕화를 리더십의 윤리적 이상의 당위로 삼고, 안정과 치민과 교화를 실제의 문화적 가치로 삼아 균형적 조화와 윤리적 실천이라는 윤리문화적 사고와 행동체계를 리더십의 관계와 과정과 기술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리더십을 통해 갈등을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동기를 유발시켜 신료들로 하여금 국가의 일을 자기의 책임으로 생각하고 변화와 창조에 자발적이고 헌신적으로 행동하는 진정한 영향력을 이끌어냄으로써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기틀을 구축하였다. 세종대왕의 리더십은 윤리문화적 리더십 모형이 잘 구현된 리더십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리더십은 공동체적 삶의 보편적 원리인 도덕과 윤리를 기본바탕으로 삼아야 하며, 윤리적 이상의 당위와 실제의 문화적 가치를 균형적으로 조화시키고 윤리적으로 실천하는 리더의 덕을 잘 발휘하여 진정한 영향력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윤리문화적 리더십은 현대 리더십의 적실성과 실천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aewol Choi Si-hyeong’s Donghak Thought and Humanistic Leadership in Practice. 사공영 - 2024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79-104.
윤리적 육식주의의 가능성 연구. 이기훈 - 201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4):135-157.
The Nature and Task of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Wittgenstein. 박찬구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1):1-27.
An Ethical Analysis of Converging Technologies. 추병완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17-46.
From Environmental Act Ethics To Environmental Virtue Ethics. 장동익 - 2014 - Environmental Philosophy 17 (17):119-143.
The Leadership Core-Value of the Muaesabang(無碍四方, Intercommunication). 안은수 - 200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3 (23):67-97.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39 (#580,153)

6 months
12 (#304,42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