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코로나19 영향과한국기업의 함의

VIP 3국의 코로나19 상황과 한국기업의 대응 (Jun 29, 2020) (2020)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코로나19를 베트남이 어떻게 성공적으 로 대처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다루고 있다. 베트남의 코로나19 대응과정 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서, 전시상황과 견주 할 정도로 빠르고 강력한 봉쇄를 어 떻게 진행할 수 있었고, 전국민의 동의는 어떻게 얻을 수 있었는지 분석한다. 메타포, 과학저널리즘, 애국을 위한 사회적 격리와 감시는 베트남의 코로나19 대응에서 중요한 지점이다. 물론 봉쇄와 격리가 가져온 정치경제적 결과도 분명하다. 아세안의장국으로서의 지위와 국가위기를 성공적으로 이겨내고 있는 정부의 역할이 돋보 였지만, 마이너스 경제성장과 실업 문제는 해결이 시급하다. 또한 이러한 봉쇄조치가 한국인 격리 사건을 발생시키는 등 국가적인 외교문제로까지 커지게도 만들면서베트남 내 중요한 경제외교국인 한국과의 관계도 소원하게 될 뻔 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위기는 베트남 내 한국기업, 교민의 노력으로 일부 해소되는 등 코로나19로 인해 만들어진 이슈를 통해 한국기업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External links

  • This entry has no external links. Add one.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Problem of Shame in the Post-COVID 19 Era : Focusing on Sartre. 최혁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9:1-30.
A Study on the Theory of One’s Duty Theory to the Spread of Corona-19. 하윤서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419-435.
The issue of 'Myungri' and 'Humanity' in Myungri Philosophy. 조규문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5 (45):107-131.
A Study on Death and Moral Education. 이진희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1):199-223.

Analytics

Added to PP
2022-06-04

Downloads
308 (#90,512)

6 months
113 (#50,71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